Code note/자바스크립트
function => 화살표함수 이해하기
코드노트
2022. 5. 11. 16:53
const exEls = function(exEl) {
if (exEl === 'codenote') {
return true;
} else {
return false;
}
};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const exEls = (exEl) => {
return exEl === 'codenote' ? true : false;
};
위 코드와 아래코드는 같은 코드이다.
화살표함수를 사용하게되면 더 간단한 코드를 만들 수 있다.
const exEl = () => {};
const exEl = one => {};
const exEl = (one, two) => {};
1. 익명함수를 화살표함수로
2. 1개의 변수만 사용하는 함수는 괄호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.
3. 여러개의 변수가 들어가게 되면 괄호를 사용하고 ,를 사용하여 구분한다.
const exEls = number => number + number;
const exEls = number => {
const sum = number + number;
return sum;
};
console.log(exEls(6));
위 2개는 같은 코드입니다.
ex ) number은 매개변수이다. 호출할때를 확인해보면 답이 어떻게 나올지 알 수 있다.
number = 6으로 호출하게 되면 6+6 으로 12가 호출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