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Baekjoon
- NPM
- 프론트엔드
- 자바스크립트 문제풀이
- 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
- 자바스크립트코딩테스트
- leetcode문제풀이
- 알고리즘문제풀이
- JavaScript
- Next
- lodash
- 리액트
- 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
- 제로베이스
- til
- 자바스크립트
- next13
- Next.js13
- react
- stack문제
- CSS
- 자바스크립트 연결리스트
- 프로그래머스
- 타입스크립트
- leetcode
- 자바스크립트 문제
- JS
- HTML
- 리액트쿼리
- 자바스크립트 문제 풀이
Archives
- Today
- Total
코드노트
function => 화살표함수 이해하기 본문
const exEls = function(exEl) {
if (exEl === 'codenote') {
return true;
} else {
return false;
}
};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const exEls = (exEl) => {
return exEl === 'codenote' ? true : false;
};
위 코드와 아래코드는 같은 코드이다.
화살표함수를 사용하게되면 더 간단한 코드를 만들 수 있다.
const exEl = () => {};
const exEl = one => {};
const exEl = (one, two) => {};
1. 익명함수를 화살표함수로
2. 1개의 변수만 사용하는 함수는 괄호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.
3. 여러개의 변수가 들어가게 되면 괄호를 사용하고 ,를 사용하여 구분한다.
const exEls = number => number + number;
const exEls = number => {
const sum = number + number;
return sum;
};
console.log(exEls(6));
위 2개는 같은 코드입니다.
ex ) number은 매개변수이다. 호출할때를 확인해보면 답이 어떻게 나올지 알 수 있다.
number = 6으로 호출하게 되면 6+6 으로 12가 호출된다.
'Code note > 자바스크립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s 데이터 알아보기 / number 수학 객체 / parseInt, parseFloat (0) | 2022.05.29 |
---|---|
js 데이터 알아보기 / String 문자열 생성자 indexOF, length, slice, replace, match, trim (0) | 2022.05.29 |
javascript function, return, 매개변수 이해하기 (0) | 2022.05.11 |
javascript switch - if esle if 차이점 정리 (0) | 2022.05.09 |
javascript lodash - throttle 사용방법 (0) | 2022.05.08 |